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내적 대화 기법과 빈 의자 기법

by 데이빗송 2022. 12. 19.

게슈탈트 치료의 기법들

기법은 정서를 끌어내고 행동을 유발하거나 구체적인 목표를 성취하는 데 사용되는 사전에 계획된 행동들입니다. 대조적으로 실험은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맞게 자연스럽게 창조됩니다. 또한 실험은 내담자가 더 완전한 알아차림을 얻고, 내적 갈등을 경험하며, 불일치나 양극성을 해결하며, 미해결 과제의 완성을 방해하는 장벽에 대해 작업합니다. 어떤 상담자들은 게슈탈트 치료가 치료를 정의하는 다양한 기법들로 구성된다고 잘못 생각하지만, 실제로 기법은 게슈탈트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부분입니다. 아래의 기법들은 게슈탈트 치료의 필수적인 부분이 아닙니다. 이러한 기법들이 가장 잘 사용될 때, 그 개입들은 치료적 상황에 잘 맞고 내담자가 어떤 것을 경험하고 있든 부각할 수 있습니다.

1. 내적 대화 기법

게슈탈트 치료의 목표 중 하나는 거부하고 부인해왔던 자신의 성격의 측면들을 통합하고 수용하는 것입니다. 게슈탈트 상담자는 성격 기능의 분열에 주목합니다. 중요한 구분 중의 하나는 '상전(top dog)'와 '하인(underdong)'이며, 치료는 종종 둘 사이의 대립에 초점을 맞춥니다. 상전은 도덕적으로 옳고, 권위주의적이며, 도덕주의자처럼 굴고, 요구적이며, 대장처럼 굴며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데 능합니다. 이는 '비판적 부모'로서 '당위성(shoulds)'과 '의무(oughts)'로 못살게 굴고, 파국이라는 것으로 위협하며 조종합니다. 하인은 방어적이고, 미안해하며, 무기력하고, 약하며, 힘이 없는 체함으로써 희생자의 역할을 연기합니다. 이는 수동적이고 책임감이 없으며 변명을 찾는 모습입니다.

상전과 하인은 통제라는 주제로 항상 갈등합니다. 이 갈등은 왜 결심과 약속이 종종 이행되지 않는지, 왜 미루는 버릇이 계속 유지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상전은 '그러므로, 그래서'로 요구하는 독재자인 반면, 하인은 반항적이며 순종하지 않는 아동입니다. 서로 통제하기 위한 투쟁의 결과, 개인은 지배자와 피지배자로 분열됩니다. 이 두 측면의 내전은 양측 모두가 자신의 존재를 위해 싸우는 것이므로 계속됩니다. 성격의 양극 간 갈등은 내사(introjection)라는 기제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내사는 타인, 보통은 부모의 어떤 면을 가진 자신의 성격으로 가져오는 것을 포함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내사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개인에게 독이 되어 성격 통합을 막는 치명적인 작용을 합니다.

2. 빈 의자 기법

빈 의자 기법(empty chair)은 역할 바꾸기 기법인데, '타인'이 생각하거나 느낄 수 있는 것에 대한 환상을 의식의 세계로 가져오는 데 유용합니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역할 연기 기법으로, 모든 부분이 내담자에 의해 연기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사는 수면으로 올라올 수 있고, 내담자는 더 완전하게 갈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더욱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 중 하나는 자신의 사회적 관계 내에 있는 누군가가 느낄 수 있는 것을 탐색하는 데 그리고 그 사람이 겪을 수 있는 더욱 현실적인 어려움을 탐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2개의 의자를 사용하여,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한 의자에 앉아서 온전히 상전이 되어 보라고 합니다. 그런 다음, 다른 의자로 옮겨 가서 하인이 되어보라고 합니다. 대화는 내담자의 두 측면 간에 계속 될 수 있습니다. 이 갈등은 내담자의 두 측면에 대한 수용과 통합을 통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이 활동을 내담자가 부인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자신의 어떤 감정이나 측면에 접촉하도록 도와주는데 단순히 갈등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아니고 감정을 격렬하게 격화시켜 충분히 경험하도록 합니다. 더 나아가 이 개입은 그 감정이 실제적인 자신의 일부라는 것을 내담자가 깨닫도록 도와줌으로써, 개입은 내담자가 감정을 분리하는 것을 막습니다. 이 연습의 목표는 모든 사람들에게 존재하는 양극성이나 갈등을 높은 수준에서 통합시키는 것입니다. 인간의 어떤 특성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양극성 수용하며 이것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가르치는 것이 목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