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강박장애의 특징과 원인은 무엇일까?

by 데이빗송 2023. 1. 2.

강박장애

강박장애는 원하지 않는 생각과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장애입니다. 강박장애의 주된 증상은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입니다. 강박사고는 반복적으로 의식에 침투하는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강박사고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는데, 흔한 예로는 음란하거나 근친상간적인 생각, 공격적이거나 신성 모독적인 생각, 오염에 대한 생각, 반복적 의심, 물건을 순서대로 정리하려는 충동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지만 잘 통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고통스럽게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없애기 위해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게 되는데, 흔히 강박행동으로 나타납니다. 강박행동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강박행동은 씻기, 청소하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이 외현적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숫자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와 같이 내현적 활동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박행동이 지나치고 부적절하다는 것을 잘 알지만,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심한 불안을 느끼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반복하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이러한 강박적 사고와 행동으로 인해서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생각과 행동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기 때문에 현실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1. 강박장애의 유형과 특징

강박장애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강박적 사고나 행동으로 나타나는데, 크게 3가지의 하위유형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첫째는 순수한 강박사고형으로서 외현적인 강박행동이 나타나지 않고 내면적인 강박사고만 지니는 경우입니다. 예컨대, 원치 않는 성적인 생각, 난폭하거나 공격적인 충동, 도덕관념과 배치되는 비윤리적인 심상 등과 같은 불편한 생각이 자꾸 떠올라 무기력하게 괴로워하거나 마치 내면적 논쟁을 하듯이 대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둘째는 내현적 강박행동형으로서 강박적 사고와 더불어 겉으로 관찰되지 않는 내면적 강박행동만을 지니는 경우입니다. 숫자를 세거나 기도를 하거나 어떤 단어를 반복적으로 외우는 내현적 강박행동을 하며 이는 불편한 강박사고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강박사고와 더불어 분명히 겉으로 드러나는 강박행동을 나타내는 외현적 강박행동형이 있습니다. 이러한 외현적인 강박적 행동은 매우 다양한데, 더러운 것에 오염되었다는 생각과 더불어 이를 제거하려는 반복적 행동을 나타내는 청결행동, 실수나 사고에 대한 의심과 더불어 이를 피하기 위한 확인행동, 무의미하거나 미신적인 동일한 행동을 의식처럼 나타내는 반복행동, 주변의 사물을 질서 정연하게 정돈하거나 대칭과 균형을 중시하여 수시로 주변을 재정리하는 정돈행동, 낡고 무가치한 쓸모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모아두는 수집행동, 지나치게 꼼꼼하고 세부적인 것에 과도하게 신경을 쓰게 되어 어떤 일을 처리하는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지연행동이 있습니다. 

 

 

2. 인지행동적 원인

강박장애가 발생하는 세부적인 과정을 분석해보면, 강박사고에는 침투적 사고와 자동적 사고로 나뉘게 됩니다. 침투적 사고는 우연히 의식 속에 떠오르는 원치 않는 불쾌한 생각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사람이 흔히 경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침투적 사고는 일종의 내면적 자극으로서 그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자동적 사고를 유발합니다. 즉, 자동적 사고는 침투적 사고에 대한 사고를 말하는데,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고 매우 빨리 지나가며 잘 의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적 사고라고 부릅니다. 자동적 사고는 침투적 사고와 달리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 자아동조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 별다른 저항을 일으키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강박사고가 지속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합니다. 침투적 사고 자체가 강박행동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침투적 사고의 속성을 왜곡하는 자동적 사고가 불안과 강박행동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침투적 사고를 과도하게 위협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중요하게 여길 뿐만 아니라 그러한 사고에 대한 책임감과 통제 필요성을 강렬하게 느낍니다. 이처럼 불안을 유발하는 침투적 사고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데,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노력은 오히려 침투적 사고가 자꾸 의식에 떠오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