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불안장애의 주요 증상
범불안장애는 다양한 상황에서 만성적 불안과 과도한 걱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사건이나 활동에 대해서 지나치게 걱정함으로써 지속적인 불안과 긴장을 경험합니다. 이런 상태가 오랫동안 계속되면 개인은 몹시 고통스러우며 현실적인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범불안장애라고 합니다. 범불안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매사 잔걱정을 많이 합니다. 늘 불안하고 초조해하며 사소한 일에도 잘 놀라고 긴장합니다. 이들이 느끼는 불안은 생활 전반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이리저리 옮겨 다니기 때문에 부동불안(free-floating anxiety)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따라서 늘 과민하고 긴장된 상태에 있으며 짜증과 화를 잘 내고 쉽게 피로감을 느낍니다. 때로는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한 근육통과 더불어 만성적 피로감, 두통, 수면 장애,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의 증상을 함께 나타내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처럼 범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은 대부분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며 깜짝깜짝 잘 놀라는 과장된 반응을 흔히 보입니다. 아울러 이들은 불필요한 걱정에 집착하기 때문에 우유부단하고 꾸물거리는 지연행동을 나타내어 현실적인 일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안과 걱정은 매우 흔한 심리적 문제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범불안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불안과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과도한 불안과 걱정은 범불안장애의 핵심증상이며 이러한 증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범불안장애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진단기준
A. 다양한 사건이나 활동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나타난다. 이러한 불안과 걱정이 적어도 6개월 동안 50% 이상의 날에 나타나야 한다.
B. 개인은 이러한 걱정을 통제하기가 어렵다고 느낀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6개 증상 중 3개 이상과 관련된다.
(1) 안절부절못한다 또는 가장자리에 선 듯한 아슬아슬한 느낌이 든다.
(2) 쉽게 피로해진다.
(3) 주의집중의 곤란이나 정신이 멍해지는 느낌이 든다.
(4) 화를 잘 낸다.
(5) 근육이 긴장된다.
(6) 수면 장애가 있다.
D. 불안, 걱정 또는 신체적 증상이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의 활동에 현저한 손상을 초래한다.
E. 이러한 장해는 물질이나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F. 이러한 장해는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2. 인지적 원인
인지적 입장에 따르면, 불안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위험에 처해 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범불안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주변의 생활환경 속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위험에 예민합니다. 이들은 위험한 사고와 위협적인 사건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많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단서를 예민하게 포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불안한 사람들은 잠재적인 위험이 실제로 위험한 사건으로 발생활 확률을 과도하게 높이 평가합니다. 예컨대, 자신이나 가족이 교통사고를 당할 확률, 집에 화제가 날 확률, 질병에 걸릴 확률 등을 일반적인 경우보다 높게 평가합니다. 또한 이들은 위험한 사건이 실제로 발생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지나치게 치명적인 것으로 평가합니다. 예컨대, 교통사고가 날 경우에는 경미한 접촉사고나 신체적 상해보다는 정면충돌이나 사망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예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위험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자신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과소평가합니다. 즉, 위험한 사건이 발생하면 자신은 그 상황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므로 미래의 위험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게 되는 것입니다.
불안한 사람들이 이러한 인지적 특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위험에 관한 인지 도식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인지도식은 과거경험의 축적에 의해서 형성된 기억체계로서 특정한 환경적 자극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할당하며 자극의 의미를 특정한 방향으로 해석하게 합니다. 불안한 사람들은 위험과 위협에 관한 인지도식이 남달리 발달되어 있어서 일상생활 속에서 위험에 관한 자극에 주의를 많이 기울이고 그 의미를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합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불안장애의 인지적 모델 (0) | 2022.12.29 |
---|---|
광장공포증, 주요증상과 원인 (0) | 2022.12.27 |
인지적 왜곡이란 무엇일까요? (0) | 2022.12.26 |
자동적 사고와 인지 도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12.26 |
합리적 정서행동 치료, ABC 모형과 상담 기법 (0) | 2022.12.20 |